패럴림픽 개요부터 종목까지 살펴보기

점점 주목받고 있는 패럴림픽은 신체적 그리고 감각적 장애가 있는 운동선수들이 참가하여 펼치는 세계 최대의 스포츠 행사다.
패럴림픽 개요부터 종목까지 살펴보기

마지막 업데이트: 11 12월, 2019

올림픽보다 역사가 짧으며 큰 인기를 누리지 못하고 있는 패럴림픽은 신체적, 감각적 그리고 정신적 장애가 있는 운동선수들이 참가하는 행사다. 이번 글에서는 패럴림픽 유래부터 자세히 알아보려고 한다.

패럴림픽 개요

현대 올림픽의 아버지인 피에르 드 쿠베르탱처럼 패럴림픽은 독일 의사, 루트비히 구트만에 의해 조직화하였다.

신경학자인 구트만은 세계 각국에 있는 뇌성마비, 지적 장애, 사지 절단, 실명이나 하지대마비 환자들이 모여서 스포츠를 즐기자는 취지로 패럴림픽을 열었다.

구트만은 먼저 1948년 척추 장애를 앓고 있는 제2차 세계대전 참전 용사들을 대상으로 국제 스토크 맨더빌 경기회를 열며 장애인 운동선수들에 대한 편견을 없애려 애썼다.

패럴림픽 이전

장애가 있는 운동선수들이 일반 올림픽에 출전한 적도 있지만, 1960년 로마에서부터 휠체어를 탄 23개국 선수 400명이 패럴림픽에 참가하게 된다.

육상, 양궁, 농구, 펜싱, 스누커, 수영, 탁구와 다트 종목에서 실력을 겨룬 대회에서 이탈리아가 메달 80개를 휩쓸며 1위에 등극했다.

그 이후 패럴림픽은 올림픽과 같은 해에 개최되고 있으며 1976년 몬트리올 패럴림픽부터는 휠체어를 타지 않은 장애우들도 참가할 수 있게 되었다. 

1988년 서울 올림픽부터 패럴림픽은 올림픽이 폐막한 후 같은 시설을 활용하여 개최됐는데 2001년 올림픽 위원회에서는 올림픽과 패럴림픽의 동시 개최지 선정을 규정화했다.

패럴림픽 구트만

또 1976년 이후부터 동·하계로 나뉘어 열리는 패럴림픽은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 규정에 따라 개최되며 패럴림픽 엠블럼은 빨강, 초록과 파랑의 태극 문양 변형이기도 하다.

패럴림픽 종목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는 장애 등급을 10가지로 분류하며 참가 선수들은 장애의 종류와 등급에 따라 다양한 종목에 참가하여 경쟁할 수 있다.

장애 등급은 근육 손상, 수동적 운동장애, 사지 결핍, 다리 길이 차이, 저신장, 긴장과도, 운동실조, 아테토시스, 시각 장애, 지적 장애를 포함하며 종목에 따라 더욱더 세부적으로 나뉠 수 있다.

하계 패럴림픽의 22종목은 약간 변형한 육상, 배드민턴, 휠체어 농구, 사이클, 휠체어 펜싱, 시각 축구, 역도, 승마, 유도, 수영, 카누, 조정, 휠체어 럭비, 휠체어 테니스, 양궁, 사격, 트라이애슬론과 배구 등이다.

고유 종목

하계 패럴림픽의 골볼과 보치아는 대중적인 스포츠는 아니다. 그중 골볼은 시각 장애인이나 시각적 장애가 있는 선수들이 소리를 따라 공을 쫓는 경기다.

골볼은 3인 1조의 팀 경기로 관중은 경기 내내 정숙해야 하지만 골을 넣었을 때는 환호성을 지를 수 있다.

보치아는 개인, 복식과 단체전이 가능하며 하얀 공을 최대한 멀리 보내는 것이 목표다. 뇌성마비, 뇌 손상이나 심각한 신체장애가 있는 선수들이 참가한다.

패럴림픽 골볼

동계 패럴림픽의 6종목은 알파인스키,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아이스하키, 스노보드, 휠체어 컬링으로 나뉜다.

패럴림픽은 그리스어의 전치사 ‘para’(옆의, 나란히)를 사용하여 올림픽과 나란히 개최됨을 의미한다.

국제 올림픽 위원회에서 인정하는 또 다른 장애 선수 대회로는 청각 장애인들이 참가하는 농아인 올림픽이 있다.

이 글은 어떤가요?
채식주의자를 위한 맛있는 버거 레시피 3가지
Fit People
읽어보세요 Fit People
채식주의자를 위한 맛있는 버거 레시피 3가지

햄버거라고 하면 보통 건강에 좋지 않은 패스트 푸드를 연상하게 되지만 채식주의자를 위한 건강한 햄버거 레시피도 있다. 일반적으로 넣는 고기 대신 대두류로 만든 두부나 고기 대용품 등으로 조리해도 얼마든지 훌륭한 채식주의자용 햄버거를 완성할 수 있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본 콘텐츠는 오직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어떠한 경우든 전문가의 진단, 치료 또는 권고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의문 가는 점이 있거나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반드시 전문가의 상담을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