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마스 요리에 포함해야 할 과일과 채소

크리스마스 축제 기간이라고 해서 과식할 필요는 없다. 대신 과일이나 채소와 같은 건강한 재료를 사용하여 독창적이고 재미있는 음식을 준비할 수 있다. 크리스마스를 모티브로 과일과 채소로 장식도 가능하다!
크리스마스 요리에 포함해야 할 과일과 채소

마지막 업데이트: 06 8월, 2019

크리스마스 메뉴를 계획할 때 그 주인공은 항상 고기, 생선 또는 해산물이다. 그리고 이렇게 푸짐하게 먹으면 결과적으로 늘 몇 킬로가 추가로 는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색다르게 축제 동안 과일과 채소가 우리 식탁에서 어떻게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보여주려고 한다.

그렇다면 제철 과일과 채소를 사용하여 어떻게 크리스마스 음식을 준비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칼로리 섭취량을 줄이면서 동시에 맛있는 음식을 즐길 수 있다.

크리스마스 요리에 포함해야 할 과일과 채소

아이들을 위한 재밌는 크리스마스 장식

우리는 모두 아이들이 크리스마스 간식을 좋아한다는 걸 알고 있다. 그래서 홀리데이 시즌이 시작되고 우리가 눈치채기도 전에, 아이들은 이미 며칠 동안 누가, 젤리빈, 초콜릿 및 다른 많은 간식을 먹는다.

아이들을 위한 재밌는 크리스마스 장식 

이 루틴을 따르지 않으면서도 크리스마스 전통을 지키려면 재밌는 크리스마스 장식을 만들어 보는 게 좋다. 과일과 채소를 활용하는 재밌고 상상력 넘치는 방법들이 아주 많이 있다.

속을 채워 구운 사과

구운 사과는 추운 크리스마스에 먹기 완벽한 디저트다. 이 레시피에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더하려면, 사과 속 부분을 제거해야 한다.

파낸 사과 속 부분, 건포도 및 견과류의 혼합물을 사과 속에 채워 넣어주자. 그런 다음 사과를 오븐에 넣고 황금색으로 변하면 꺼내주면 된다. 마지막으로 사과를 식히고 약간의 설탕이나 계피를 뿌려주자.

이 구운 사과는 가족 식사에 적합한 간단하고 다채로운 디저트다. 건강에 좋으므로 식사 후에 먹기에도 완벽한 디저트가 아닐 수 없다.

고구마 수프

이 고구마 수프는 스타터로 딱 맞다. 준비하는 메뉴에 속을 채우거나 구운 고기와 같은 무거운 메인 요리가 있다면 가벼운 스타터부터 시작하는 게 가장 좋다.

고구마 수프

우리는 크리스마스 테마와 완벽하게 어울릴만한 맛과 모양 때문에 이 고구마 수프 레시피를 선택했다. 이 음식을 준비하려면 먼저 고구마와 리크를 볶아주자. 고구마는 매우 강렬한 맛을 지니고 있어서 다른 부드러운 맛을 지는 재료와 아주 잘 어울린다.

잘 볶아지면, 고기 조금이나 채소 육수를 넣고 끓여준다. 30분 후 불을 끄고, 전기 믹서로 고구마를 으깨자. 보기 좋게 장식하기 위해 위에 파슬리 장식을 얹고 크루통, 캐러멜라이즈드 된 양파 또는 다진 견과류를 뿌려주면 끝이다.

꽃상추에 얹은 퀴노아와 채소 볶음

이 마지막 레시피는 소풍 점심 또는 저녁 식사로 적합하다. 또한, 크리스마스 메뉴에 추가하여 스타터로 먹어도 좋다.

꽃상추에 얹은 퀴노아와 채소 볶음

이 음식을 만들려면 먼저 퀴노아를 준비해야 한다. 쓴맛을 제거하기 위해 항상 퀴노아를 미리 씻어두자. 퀴노아를 조리하는 동안 채소를 볶아준다.

이렇게 준비된 퀴노아와 채소를 섞어준 다음, 이 혼합물을 꽃상추 위에 올려주면 완성이다. 이 레시피는 독창적이면서도 맛있는 스타터를 만들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이다.

이제 이 모든 레시피에 대해 배워보았으니 이제 크리스마스 시즌 동안 과일과 채소가 우리 식탁에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게 되었을 것이다. 또 이 기간에 우리가 먹는 동물성 지방을 벌충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건강한 과일과 샐러드 요리를 섭취하는 게 좋다.

이 글은 어떤가요?
과일과 채소를 곁들여 만드는 레시피
Fit People
읽어보세요 Fit People
과일과 채소를 곁들여 만드는 레시피

과일과 채소를 포함한 일상 식단은 많은 건강상의 이점이 있다. 주된 이점을 꼽자면, 과일과 채소는 인체가 필요로 하는 비타민과 무기질의 주요 원천이라는 사실이다. 세계보건기구 (WHO)는 하루에 3인분의 과일과 2인분의 채소를 섭취하라고 권장한다.


본 콘텐츠는 오직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어떠한 경우든 전문가의 진단, 치료 또는 권고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의문 가는 점이 있거나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반드시 전문가의 상담을 받으시기 바랍니다.